생각 말하기/40대 남자

40대 남자의 불안 – 노후불안 - 100세 시대의 그늘

김성열 2018. 1. 17. 07:26
728x90

100세 시대

문명의 발전은 인간의 수명에도 영향을 가져왔다. 30년전 평균 70세이던 기대수명은 근래에 들어 80세를 넘어섰다. 그리고 기대수명 100세 시대의 도래가 당연시 되고 있으며 우리는 일찌감치 ‘100세 시대’라는 말을 써왔다. 영어로는 ‘Homo Hundred(호모 헌드레드)라고 하는 100세 인생은 살아있음에 대한 인간의 본능적인 욕망의 입장에서는 무척 반가운 말이다. 


하지만 '100세 시대' 그 자체는 삶의 질(quality)를 고려하지 않은 개념이다. 삶의 질이 보장된다면 오래 사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을 없을 테지만 ‘어떻게’를 삶의 당사자에게 맡겨버린 100년의 인생이 무조건 반가울 수는 없는 일이다. 특히 고만고만한 수입으로 가족들을 부양하며 살아가는 평범한 40대 남자의 입장에서는 ‘50년이나 더 살아야 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숨만 쉰다고 살아지는 세상이 아니라서다. 살아가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돈을 벌기 위해서는 일을 해야 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 일을 하기가 쉽지 않다. 수명만 늘어난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상태도 나아졌다. 그래서 나이 60은 청년 축에 든다며 환갑잔치도 꺼리는 분위기다.  하지만 나이 60을 넘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척 드물다. 몸과 마음이 모두 쌩쌩하다고 해도 더 쌩쌩한 후배 세대들과 직업을 놓고 벌이는 전투에서 이기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남들처럼 평범하게 벌어먹고 사는’ 40대 남자들은 100세 시대라는 말을 들으면 멍해진다. 어느 모로 봐도 현재의 삶에서 노후는 우선 고려 대상이 아니다. 기껏해야 나라가 내어준다는 국민연금과, 다달이 넣고 있는  몇 개의 보험, 조금만 더 일하면 (그 사이에 별 일이 없다면!) 대출금을 상환이 끝나는 집 한 채 정도가 노후대비의 전부다. 아무래도 그것들로는 은퇴 후 20~30년을 더 살아가기가 빠듯해 보인다. 하지만 그 정도라도 있으면 다행이다. 그마저도 없다면 미국 작가 필립 로스의 말처럼 노년은 삶을 위한 전투가 아니라 대학살(Old age isn’t a battle, old age is a massacre.)이 될 지도 모른다.


미래가 어떻게 흘러갈지 전혀 알 수 없다. 그나마 할 수 있는 것은 계획하고 대비해서 변수가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의 예측 확률을 높이는 것뿐이다. 그렇지 않고 아무 대비나 계획 없이 부평초처럼 물결 따라 바람 따라 이리저리 흘러가는 것이 인생이라고 자위해봤자 표류를 항해로 위장할 수는 없는 일이다. 노후 역시 마찬가지다. 계획과 준비가 너무 부족한 노후는 긍정적인 예측이 불가능하기에 미래에 대한 두려움, 즉 불안의 대상일 수 밖에 없다.



자기의 복지는 스스로 하자?

불안은 쉰내처럼 스물스물 올라온다. 온라인 서점 알라딘에서 ‘노후’라는 단어로 검색을 하면 노후에 관한 책들이 후두둑 쏟아져 나온다. “돈 걱정 없는 노후 30년“, “노후를 위해 집을 이용하라”, “적게 벌어도 잘사는 노후 50년“, “당신의 노후는 당신의 부모와 다르다“, “혼자 사는데 돈이라도 있어야지“, “노후를 위해 오피스텔에 투자하라“, “3억으로 돈 걱정 없는 노후 30년“…… 제목만 보아도 불안의 기운이 훅 밀려온다. 트렌드가 현실을 반영한다는 점을 상기하면 노후불안의 존재는 확실하고 강력하다.


우리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알려진 유럽식의 복지나 사회안전망을 원한다.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는 아직 그 수준에 이르지 않았다. 우리가 많이 부러워하며, 궁극적인 복지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같은 국가들에 비하면 우리 사회는 사적복지(私的福祉)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다. 물론 사회가 제공하는 복지가 약하더라도 ‘일할 수 있을 때’ 충분히 벌어놓을 수 있다면 노후에 대한 불안이 좀 덜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 사회는 공공복지의 빈 곳을 개인이 메울 만큼 넉넉하게 벌기가 쉽지 않다.


선대인경제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선대인 소장은 우리나라에서 노후불안이 팽배할 수 없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우리나라는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정규직 일자리가 절반 정도 밖에 되지 않고 정년도 6~9년 이상 빠르다. 그래서 비정규직이나 자영업처럼 불안정한 돈벌이에 내몰리는 사람이 많다. 안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은 적고, 그나마 돈을 버는 기간도 짧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가진 것이 없으니 그만큼 노후의 삶은 고단할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NH투자증권에서 낸 <2016 대한민국 직장인 보고서>를 보면, 직장인의 경우 노후준비지수가 70%, 노후부족액이 2억 5천만원이다. 자영업자라고 해도 별로 다르지 않다. 노후준비지수 74%, 노후부족액 1억9천만원이다. (물론 어느 정도 성공한 자영업자가 대상이다. 이미 망해버린 자영업자는 아예 이 조사에서 제외되었을 테니까.) 


위의 보고서에서 응답자들에게 가장 큰 걱정거리가 뭔지 물었더니 노후불안이라는 답변이 34.9%로 제일 많았다. 의외로 40대의 경우는 31.2%로 평균보다도 낮았다. 어떻게 보면 다른 세대들에 비해 별로 불안해 하지 않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노후불안이 걱정의 전부가 아니라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자녀교육(16.4%), 주택(15.9%), 건강(13.5%), 고용불안(9.3%) 등도 걱정에 걱정을 더한다. 



현실 앞에서 노후준비는 뒷전

노후불안의 뒤를 잇는 이 걱정거리들은 미래가 아닌 현실에서 맞닥뜨리는 것들이다. 100세 시대라는 말이 자연스러워진 세상인데 노후불안이 35% 정도 밖에 나오지 않았던 것은 자녀교육, 집, 건강, 고용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이 더 걱정거리이기 때문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특히 가족 부양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40대 남자의 입장에서는 현재의 삶이 발등의 불이다. 그러니 노후준비는 남의 집 불구경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2016년 <한경비즈니스>의 설문조사를 보면 40대가 왜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지 알 수 있다. 40대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재테크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52.2%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74.3%가 “자금이 부족해서”라고 답했다. 40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못벌지는 않지만 쓰는 것도 만만치 않다는 말이다. 같은 설문의 월 지출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항목을 묻는 질문에서 생활비가 55.4%, 자녀 교육비 25.7%, 대출금 상환이 12.7% 라는 답이 나왔다. 이미 수입의 90% 이상이 묶여 있는 판국이다. 가처분 소득이 있어야 가능한 재태크나 노후준비는 언감생심일 수 밖에 없다.


이렇듯 당장 눈 앞에 있는 걱정거리들 때문에 당장은 손을 쓸 수 없지만, 노후불안은 항상 마음속 한 켠에 머물러 있기 마련이다. 늙음은 날 때부터 정해져 있는 삶의 단계이니 말이다. 그리 길지 않은 시간 안에 은퇴를 해야 하는 40대 중반 이상의 남자에게는 더더욱 그렇다. 고민한다고 해서 뾰족한 답이 있는 것도 아니고, 무시하고 넘어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서 더 불안하다. 


말이 100세 시대지 돈 없는 100세가 얼마나 비참한지는 굳이 체험해보지 않아도 알 수 있다. 길을 가다가 폐지를 줍느라 허리를 숙인 어르신을 볼라치면 남 일이 아닌 듯이 느껴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광경이 가라앉아 있던 불안을 자극한다. 동정심이나 안쓰러움이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투사하기 때문이다. 당장 열심히 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더 불안해 할 수 밖에 없는 40대 남자의 현실은 참 지난하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