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말하기/직장생활

정리해고를 생각하는 경영자에게 당부하는 말

김성열 2014. 6. 18. 13:46
728x90


이전 글에서 얘기했듯이 정리해고는 직원을 비용으로 취급해야 가능하다. 그래서 정리해고는 서글프다. 존재가 비용으로 취급된다는 점에서 정리해고의 대상자는 가슴이 아프고 그런 상황 설정을 해야만 하는 경영자 역시 마음이 편하지 않다. 게다가 정리해고의 대상자가 아닌, 남은 직원들 역시 동료 직원을 떠나보내야 하는 섭섭함과 경영 악화를 피부로 느끼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정리해고는 상처받지 않는 사람이 하나도 없는 차악 중에 차악인 셈이다.


정리해고라는 차악의 선택을 할 때 경영자는 감정과 이성을 동시에 제어해야 한다. 어느 한쪽이 어긋나버리면 차악의 선택이 최악의 상황을 불러 올 수도 있다. 쉽게 설명하면, 너무 이성적으로 판단해 직원을 철저히 비용으로만 간주하는 태도는 나가는 직원이나 남는 직원 모두에게 인간적인 실망감을 안긴다. 반대로 감정이 너무 앞서면 분위기는 분위기대로 가라앉고 효율은 별로 건지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니 정리해고를 하려는 경영자는 마음가짐이 남달라야 할 수 밖에 없다. 지금 정리해고를 계획하거나 실행을 앞둔 경영자에게 특히 다음의 두가지 당부를 하고 싶다.


정말 정리해고가 최선이었는가?

내일 아침에, 아니 오늘 아침에 회사에 들어가서 정리해고를 발표한다 하더라도 그것이 최선의 방법인지 몇번이고 몇번이고 생각해야 한다. 정리해고는 중대한 결단이다. 하지만 단칼에 베야 한다, 단호해야 한다,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누군가는 총대를 매야 한다 따위의 어구에 매몰되어 '결단' 자체에만 집중하게 되면 다른 대안에 대해서는 판단이 소홀해지기 쉽다.


특히 많은 경영자들이 중대한 사안일수록 본인의 판단에 모든 것을 거는 경우가 많다. 이는 경영자인 본인이 모든 책임을 져야한다는 생각이 앞서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리해고를 결정하고 시행한 경영자는 정리해고가 되어 (일시적이나마) 밥줄이 끊긴 사람들에 대해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다. 그의 책임은 정리해고의 대상이 아닌, 남아 있는 직원의 밥줄에 대한 것이다. 회사를 떠난 사람들에 대해서는 경영자는 책임을 질 필요가 없기도 하거니와 (경영자와 직원은 어디까지나 계약에 의한 관계였으므로) 책임을 질 별다른 방법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경영자가 모든 책임을 지려는 태도는 칭찬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모든 책임을 진다고 해서 대안의 수립마저 그 책임 안에 (억지로) 구겨넣을 필요는 없다. 직원들과 같이 고민해 대안을 수립하고 그 대안에 대해 경영자가 책임을 지는 방법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어떤 대안이 되었든 그 책임이 항상 경영자에게 있다면 굳이 혼자만의 고민으로 가져갈 필요는 없다. 자신의 판단에 대해 전적으로 오류가 없음을 자신하지 못한다면 경영자는 자신이 선택한 대안이 최선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다시는 정리해고가 없을 것이라 말하지 말라

정리해고를 실행에 옮기는 경영자의 대부분은 "다시는 이런 일이 없을 것입니다"라는 말을 몇번이나 할 것이다. 하지만 이 말은 그렇게 쉽게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사실 이런 일(정리해고)은 경영자의 결심이나 의지와는 별로 상관이 없다. 경영자가 결심한다고, 의지를 굳게 가진다고 해서 어음 부도를 막거나 업계의 불황을 피하거나 매출을 두 배로 늘릴 수는 없는 일이다. 


사업에서, 경영에서 맞닥뜨리는 상황은 경영자의 결심이나 의지의 결과가 아니라 수 많은 요소들(그 중에 많은 것들이 개인의 능력으로, 한 기업의 역량으로 쉽게 조정할 수 없는 것이다)이 뒤섞여 나온 결과다. 정리해고 역시 그러한 결과, 혹은 그러한 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이며 이것은 경영자의 다짐, 의지, 믿음 따위의 '감정'으로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짐과 의지만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면 이미 벌어진 정리해고의 상황은 의지박약 때문이라는 말 밖에는 안된다.


게다가 "다시는 이런 일이 없을 것입니다" 했다가 또 그렇게 되면, 그 경영자는 무능한 사람일 뿐만 아니라 '거짓말쟁이'가 되버린다. 무능력에 거짓말까지 한다면 정말 그야말로 최악이다. 만약 앞으로에 대한 경영자의 결심과 의지를 드러내고 싶다면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도면 충분하다. 미안함을 드러내고 싶다면 "미안합니다"라고 하면 될 뿐이다. 정리해고라는 상황에서 그 밖의 말들은 의미를 찾기가 쉽지 않다.



정리해고라는 상황에 대한 모든 책임이 실오라기 하나까지도 경영자에게만 있지는 않다. 정리해고의 원인은 어느 한쪽에게 일방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있을만큼 단순하지는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리해고의 고통은 정리해고에 대한 책임보다 더 무겁다. 정리해고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은 논리적인 해석이지만 정리해고의 고통은 감정의 덩어리다. 그렇기에 책임에 대한 논리적 사유는 직접적인 고통 앞에서 별 것 아닐 수도 있다.


정리해고는 논리적, 이성적 행위의 산물임에 분명하다. 그리고 그것은 고통을 필수적으로 수반한다. 경영자의 임무는 간단하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정리해고를 고려하거나 실행해야 한다면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단히 애써야 한다. 상심의 공유, 다짐과 약속, 절치부심, 송구함도 필요하지만 경영지가 정리해고의 상황에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은 고통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그것이 곧 정리해고에 대한 경영자의 책임이다.

300x250